컨텐츠 영역
1. 개요
북한에서의 금속공업은 광석을 원료로 하여 금속을 뽑아내며 그것을 압착가공하여 금속자재를 생산하는 공업이라고 총칭한다. 금속공업을 야금공업이라고도 하며 북한에서는 경제의 4대 선행부문의 하나로서 중공업의 중요한 부문으로 간주한다.
금속공업은 원료와 생산되는 제품에 따라 흑색금속공업(철강)과 유색금속공업(비철금속공업)으로 구분된다.
2. 철강공업(흑색금속공업)
북한은 철강공업을 흑색금속(철강재)을 생산하는 공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여기서 흑색금속은 철과 철합금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며, 흑색금속이라고 부르는 것은 순수한 철이 산화되어 보통 검은색으로 보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흑색금속공업에는 제철공업과 철강공업이 포함된다.
북한의 제철·제강공업 입지는 지리적 배치와 전문화의 특성 및 규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청진시를 중심으로 한 함북 북부지구, 송림시와 남포시를 중심으로 한 대동강 하류지구, 평양시와 주요 공업중심지 등의 철강 생산기지, 주요 기계공업 중심지들에 조성된 큰 규모의 주철·주강기지 및 지방 공업부문에 속하는 중소규모의 주철·주강품 생산기지 등이다. 이들 중에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함북 북부지구, 대동강 하류지구이다. 북한은 이들 지역이 원재료인 철광석, 석탄의 공급이 원활하고 공업용수 등 입지조건과 수송조건, 지형·지질 등 자연조건, 전력조건 및 하수도망, 폐설물 지리조건 등에서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곳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북한에는 철강의 기본 원료인 철광석의 매장량(약 30억톤)이 풍부한데 경제적으로 가치 있고 많이 쓰이는 철광석은 자철석, 적철석, 갈철석 등이다. 그밖에 중석, 니켈, 코발트와 크롬 같은 합금용 광물과 용제로 쓰이는 석회석, 내화재료로 쓰이는 마그네사이트, 점토, 규소와 사문석 같은 광물자원도 많다.
북한의 주요 철강공장들은 함북 청진(김책제철연합기업소)과 김책(성진제강연합기업소), 황북 송림(황해제철연합기업소), 남포특별시(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등에 소재하고 있다. 이들 공장들은 원료를 무산광산 등 인근의 철광산에서, 공업용수를 대동강과 수성천(청진시) 등에서, 전력을 북창화력발전소 등에서 공급받고 있으며, 교통은 도로, 철도와 함께 인근해역을 활용할 수 있는 등 철강공업의 입지여건이 비교적 잘 구비되어 있다. 특히 주변에 관련 기계공장이 많이 산재하고 있어 제철공장의 활용도도 대단히 높은 편이다.
가. 관리체계
철강공업은 내각의 금속공업성에서 관장하고 있으며 주로 연합기업소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원료를 공급하는 채취공업성과 석탄공업성 산하 광산, 탄광들과도 직간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나. 원재료 조달
[철광석] 북한지역에는 철광석 자원이 한국에 비하여 많이 매장되어 있다. 철광산 중 규모가 가장 큰 무산광산의 매장량은 약 10억여 톤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책제철연합기업소·성진제강연합기업소·청진제강소는 동북부지역에 위치한 무산·리원·덕성·허천 광산 등으로부터, 서해지역의 황해제철연합기업소와 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는 각각 평안남도와 황해남도의 개천·은율·재령·태탄·하성·송암·서해리 광산등에서 철광석을 공급받고 있다.
무산광산의 철광석은 자철석으로 규암 또는 편마암 중에 섞여 있는 규산질 철광으로 중국 등에 수출하기도 한다. 채굴원광의 품위는 30~35%에 불과한 저품위 광석이지만 간단한 선광작업(분쇄, 그라인딩 및 자력선별(磁力선별))에 의하여 철품위 65%의 정광으로 높일 수 있다. 무산광산에서 생산된 철광석 정광은 전량을 100km 떨어져 있는 김책제철연합기업소까지 파이프라인(대형장거리정광수송관)을 통해 슬러리 상태로 운반된다. 김책제철소의 강덕원료장에서는 탈수·건조처리하여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제철소로 운반된다.
[코크스] 북한지역에는 코크스의 원료가 되고 있는 강점결성 코크스용탄이 전혀 생산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전량 중국과 러시아 등 해외로부터 수입하였다. 김일성과 김정일은 코크스탄 대신에 석탄을 가지고 철을 생산하는 방법을 완성하도록 수없이 강조하였으며 과학연구기관들에서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2000년대 후반에 들어 제철공정에서 코크스를 전혀 쓰지 않고 북한에 많이 매장되어 있는 석탄에 의해 선철을 뽑을 수 있는 제철공정을 완성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철공정은 석탄을 과도하게 소비하고 철강의 품질이 좋지 않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부원료] 제철 및 제강에서 부원료로 석회석, 형석, 고철, 진흙 등이 사용된다. 석회석은 북한 전 지역에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며, 형석은 황해북도의 평산·은파·사리원 등지와 황해남도의 신원을 비롯하여 강원도의 천내·평강, 평안북도의 선천, 함경남도의 정평 등지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어 자급이 가능 하다. 강철 생산과정에서 고철이 사용되었으나 고철 원천이 고갈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2000년대 후반 고철을 전혀 쓰지 않는 제강법이 도입되면서 고철의 시용이 줄어들게 되었다. 합금철은 주원료는 아니지만 고급강 및 특수강 생산에 필요한 특수원료로서 수입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 주요제품 공급체계
생산된 철강재는 군수공장과 일반공장에 공급된다. 야포와 전차를 비롯하여 각종 소총 등을 제작하는 군수공장과 성진제강연합기업소, 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 금속·기계공장, 각종 건설 공사장, 흥남제련소 등 일반공장에 공급된다.
김책제철연합기업소에서 생산되는 선철, 철강, 압연강재는 성진제강연합기업소, 금속·기계공장, 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선철)에 공급되며 황해제철연합기업소에서 생산한 선철, 강재, 2차 금속가공품은 강판, 형강, 레일, 선재 등 여러 부문에 공급된다. 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의 일반강재, 특수합금재, 전기용접관 등은 건축과 건설용 자재에 투입된다. 보산제철소의 선철은 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에 공급되며, 청진제강소에서 생산되는 베어링강, 합금강, 구조용 합금강은 각종 기계공장, 건설공사, 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에 공급되고 일부는 수출되기도 한다.
라. 생산능력과 생산실적
북한의 철강생산능력은 2021년말 기준 제선부문은 309.4만톤, 제강부문은 525만톤, 압연강재부문은 400.7만톤으로 추정된다.
북한의 공장별 철강 생산능력
공장명 | 제선 | 제강 | 압연강재 | |||
---|---|---|---|---|---|---|
생산능력 | 비 중 | 생산능력 | 비 중 | 생산능력 | 비 중 | |
김책제철소 | 222.7 | 40.3 | 240.0 | 37.0 | 147.0 | 36.4 |
황해제철소 | 113.4 | 20.6 | 194.5 | 29.9 | 75.0 | 18.6 |
성진제강소 | 48.0 | 8.7 | 72.6 | 11.1 | 41.5 | 10.3 |
청진제강소 | 96.0 | 17.4 |
|
|
|
|
천리마제강소 |
|
| 76.4 | 11.8 | 55.0 | 13.6 |
보산제철소 | 42.0 | 7.6 |
|
|
|
|
덕현제철소 | 9.6 | 1.7 | 9.0 | 1.4 | 9.0 | 2.2 |
평양강철공장 |
|
| 10.5 | 1.7 | 10.0 | 2.4 |
해주강철공장 |
|
| 5.2 | 0.8 | 5.0 | 1.3 |
성간제강소 |
|
| 10.0 | 1.5 | 8.0 | 1.9 |
함흥강철공장 |
|
| 5.2 | 0.8 | 5.0 | 1.3 |
강계강철공장 |
|
| 5.2 | 0.8 | 5.0 | 1.3 |
원산강철공장 |
|
| 5.2 | 0.8 | 5.0 | 1.3 |
주원강철공장 |
|
| 5.2 | 0.8 | 5.0 | 1.3 |
기 타 | 20.4 | 3.7 | 11.2 | 1.7 | 33.2 | 8.1 |
합 계 | 552.1 | 100.0 | 650.2 | 100.0 | 403.7 | 100.0 |
남북한 조강 생산량 비교
구 분 | 1995 | 1997 | 1998 | 1999 | 2001 | 2003 | 2005 | 2006 |
---|---|---|---|---|---|---|---|---|
한 국 | 3,677.2 | 4,225.4 | 3,989.6 | 4,104.2 | 4,385.2 | 4,631.0 | 4,782.0 | 4,845.5 |
북 한 | 153.4 | 101.6 | 94.5 | 124.3 | 106.2 | 109.3 | 116.8 | 118.1 |
구 분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한 국 | 5,151.7 | 5,362.5 | 4,857.2 | 5,891.4 | 6,851.9 | 6,907.3 | 6,606.1 | 7,154.3 | 6,967 | 6,858 |
북 한 | 122.9 | 127.9 | 125.5 | 127.9 | 122.5 | 122.2 | 121.0 | 122.0 | 107.9 | 121.8 |
구 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한 국 | 7,103 | 7,246 | 7,141 | 6,708 | 7,042 |
북 한 | 109.0 | 81.0 | 68.0 | 70.7 | 59.8 |
자료 : 통계청
제선능력은 김책제철연합기업소, 황해제철연합기업소, 청진제강소, 보산제철소와 성진제강연합기업소 순으로 생산능력이 많으며 제선제품내의 비중으로는 선철이 약 63%, 삼화철이 약32%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연도별 공장별 제선능력
구 분 | 김책제철 | 황해제철 | 청진제강 | 성진제강 | 보산제철 | 덕현제철 | 개천제철 | 동신선철 | 이원선철 | |||
---|---|---|---|---|---|---|---|---|---|---|---|---|
선철 | 선철 | 입철 | 입철 | 삼화철 | 삼화철 | 입철 | 삼화철 | 삼화철 | 선철 | 선철 | 선철 | |
1954 | 25 |
|
|
|
|
|
|
|
|
|
|
|
1960 | 50 | 25 |
| 18 |
|
|
|
|
|
|
|
|
1970 | 66 | 87 | 6.4 | 24 |
|
| 27.6 |
|
|
|
|
|
1980 | 153 | 98.1 | 6.4 | 12 | 48 |
| 51.6 |
| 9.6 |
|
| 2 |
1990 | 216.7 | 107 | 6.4 |
| 96 | 48 | 27.6 | 24 | 9.6 | 2 | 2 | 2 |
1994 | 216.7 | 107 | 6.4 |
| 96 | 48 | 27.6 | 24 | 9.6 | 2 | 2 | 2 |
1997 | 216.7 | 107 | 6.4 |
| 96 | 48 | 27.6 | 24 | 9.6 | 2 | 2 | 2 |
1998 | 216.7 | 107 | 6.4 |
| 96 | 48 | 27.6 | 24 | 9.6 | 2 | 2 | 2 |
1999 | 216.7 | 107 | 6.4 |
| 96 | 48 | 27.6 | 24 | 9.6 | 2 | 2 | 2 |
2004 | 216.7 | 107 | 6.4 |
| 96 | 48 | 27.6 | 24 | 9.6 | 2 | 2 | 2 |
2009 | 216.7 | 107 | 6.4 |
| 96 | 48 | 27.6 | 24 | 9.6 | 2 | 2 | 2 |
2010 | 222.7 | 107 | 6.4 |
| 96 | 48 | 19.0 | 17 | 9.6 | 2 | 2 | 2 |
2011 | 222.7 | 107 | 6.4 |
| 96 | 48 | 19.0 | 17 | 9.6 | 2 | 2 | 2 |
2014 | 222.7 | 107 | 6.4 |
| 96 | 48 | 19.0 | 17 | 9.6 | 2 | 2 | 2 |
구 분 | 합 계 | 비중(%) | |||||
---|---|---|---|---|---|---|---|
선철 | 삼화철 | 입철 | 합계 | 선철 | 삼화철 | 입철 | |
1954 | 25 |
|
| 25 | 100.0 |
|
|
1960 | 75 |
| 18 | 93 | 80.6 |
| 19.4 |
1970 | 153 |
| 58.0 | 211 | 72.5 |
| 27.5 |
1980 | 253.1 | 57.6 | 70.0 | 380.7 | 66.5 | 15.1 | 18.4 |
1990 | 329.7 | 177.6 | 34.0 | 541.3 | 60.9 | 32.8 | 6.3 |
1994 | 329.7 | 177.6 | 34.0 | 541.3 | 60.9 | 32.8 | 6.3 |
1997 | 329.7 | 177.6 | 34.0 | 541.3 | 60.9 | 32.8 | 6.3 |
1998 | 329.7 | 177.6 | 34.0 | 541.3 | 60.9 | 32.8 | 6.3 |
1999 | 329.7 | 177.6 | 34.0 | 541.3 | 60.9 | 32.8 | 6.3 |
2004 | 329.7 | 177.6 | 34.0 | 541.3 | 60.9 | 32.8 | 6.3 |
2009 | 329.7 | 177.6 | 34.0 | 541.3 | 60.9 | 32.8 | 6.3 |
2010 | 335.7 | 170.6 | 25.4 | 531.7 | 63.1 | 32.1 | 4.8 |
2011 | 335.7 | 170.6 | 25.4 | 531.7 | 63.1 | 32.1 | 4.8 |
2014 | 335.7 | 170.6 | 25.4 | 531.7 | 63.1 | 32.1 | 4.8 |
제강능력은 김책제철연합기업소, 황해제철연합기업소, 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와 성진제강연합기업소 순으로 생산능력이 많은 가운데 LD전로, 횡취전로, 전기로, 평로가 각각 200만톤, 79.6만톤, 273.1만톤, 104.9만톤으로서 전체의 30.8%, 12.2%, 40.9%, 16.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북한의 연도별 공장별 제강능력
구분 | 김책제철 | 황해제철 | 천리마 | 성진제강 | 평야강철 | 해주강철 | 함흥강철 | 성간제강 | 덕현제철 | 문천베어링 | |||||
---|---|---|---|---|---|---|---|---|---|---|---|---|---|---|---|
LD전로 | 횡취전로 | 계 | 평로 | 횡취전로 | 전기로 | 계 | 전기로 | 전기로 | 전기로 | 전기로 | 전기로 | 전기로 | 전기로 | 전기로 | |
1958 |
|
|
| 5.9 |
|
| 5.9 |
|
|
|
|
|
|
|
|
1960 |
| 23 | 23 | 15.8 |
|
| 15.8 | 19.8 | 16.5 |
|
|
|
|
|
|
1970 |
| 40 | 40 | 85.1 | 39.6 |
| 124.7 | 31.6 | 18.2 |
|
|
|
|
|
|
1980 | 100 | 40 | 140 | 85.1 | 39.6 |
| 124.7 | 76.4 | 43.7 | 10.5 |
| 5.2 |
|
| 2 |
1990 | 200 | 40 | 240 | 104.9 | 39.6 |
| 144.5 | 76.4 | 71.8 | 10.5 | 5.2 | 5.2 | 10 | 9 | 2 |
1994 | 200 | 40 | 240 | 104.9 | 39.6 |
| 144.5 | 76.4 | 72.6 | 10.5 | 5.2 | 5.2 | 10 | 9 | 2 |
1999 | 200 | 40 | 240 | 104.9 | 39.6 |
| 144.5 | 76.4 | 72.6 | 10.5 | 5.2 | 5.2 | 10 | 9 | 2 |
2004 | 200 | 40 | 240 | 104.9 | 39.6 |
| 144.5 | 76.4 | 82.0 | 10.5 | 5.2 | 5.2 | 10 | 9 | 2 |
2005 | 200 | 40 | 240 | 104.9 | 39.6 | 49.4 | 193.9 | 76.4 | 82.0 | 10.5 | 5.2 | 5.2 | 10 | 9 | 2 |
2008 | 200 | 40 | 240 | 104.9 | 39.6 | 49.4 | 193.9 | 60.0 | 82.0 | 10.5 | 5.2 | 5.2 | 10 | 9 | 2 |
2009 | 200 | 40 | 240 | 104.9 | 39.6 | 49.4 | 193.9 | 60.0 | 82.0 | 10.5 | 5.2 | 5.2 | 10 | 9 | 2 |
2010 | 200 | 40 | 240 | 104.9 | 39.6 | 49.4 | 193.9 | 75.0 | 82.0 | 10.5 | 5.2 | 5.2 | 10 | 9 | 2 |
2011 | 200 | 40 | 240 | 104.9 | 39.6 | 49.4 | 193.9 | 76.4 | 72.6 | 10.5 | 5.2 | 5.2 | 10 | 9 | 2 |
2014 | 200 | 40 | 240 | 104.9 | 39.6 | 49.4 | 193.9 | 76.4 | 72.6 | 10.5 | 5.2 | 5.2 | 10 | 9 | 2 |
구분 | 강계강철 | 개천강철 | 원산강철 | 주원강철 | 희천강철 | 혜산강철 | 설비별 생산능력 | 합계 | |||
---|---|---|---|---|---|---|---|---|---|---|---|
전기로 | 전기로 | 전기로 | 전기로 | 전기로 | 전기로 | LD전로 | 횡취전로 | 전기로 | 평로 | ||
1958 |
|
|
|
|
|
|
|
|
| 5.9 | 0 |
1960 |
|
|
|
|
|
|
| 23 | 36.3 | 15.8 | 59.3 |
1970 |
|
|
|
|
|
|
| 79.6 | 49.8 | 85.1 | 129.4 |
1980 |
|
|
|
|
|
| 100 | 79.6 | 137.8 | 85.1 | 317.4 |
1990 | 5.2 | 3 | 5.2 | 5.2 | 5.2 |
| 200 | 79.6 | 213.9 | 104.9 | 493.5 |
1994 | 5.2 | 3 | 5.2 | 5.2 | 5.2 | 1 | 200 | 79.6 | 215.7 | 104.9 | 496.3 |
1999 | 5.2 | 3 | 5.2 | 5.2 | 5.2 | 1 | 200 | 79.6 | 215.7 | 104.9 | 496.3 |
2004 | 5.2 | 3 | 5.2 | 5.2 | 5.2 | 1 | 200 | 79.6 | 225.1 | 104.9 | 609.6 |
2005 | 5.2 | 3 | 5.2 | 5.2 | 5.2 | 1 | 200 | 79.6 | 274.5 | 104.9 | 659.0 |
2008 | 5.2 | 3 | 5.2 | 5.2 | 5.2 | 1 | 200 | 79.6 | 258.1 | 104.9 | 642.6 |
2009 | 5.2 | 3 | 5.2 | 5.2 | 5.2 | 1 | 200 | 79.6 | 258.1 | 104.9 | 642.6 |
2010 | 5.2 | 3 | 5.2 | 5.2 | 5.2 | 1 | 200 | 79.6 | 273.1 | 104.9 | 657.6 |
2011 | 5.2 | 3 | 5.2 | 5.2 | 5.2 | 1 | 200 | 79.6 | 265.7 | 104.9 | 650.2 |
2014 | 5.2 | 3 | 5.2 | 5.2 | 5.2 | 1 | 200 | 79.6 | 265.7 | 104.9 | 650.2 |
북한의 연도별 공장별 압연강재 생산능력
연도 | 김책제철 | 황해제철 | 천리마 | 성진제강 | 평양철강 | 해주철강 | 함흥철강 | 사리원압연 | 문천철광 | 청진강재 | 성간제강 | 덕현제철 |
---|---|---|---|---|---|---|---|---|---|---|---|---|
1960 | 5 | 21 | 50 | 20 |
|
|
|
|
|
|
|
|
1970 | 15 | 54 | 55 | 38 |
|
|
|
|
|
|
|
|
1980 | 100 | 54 | 55 | 38 | 10 |
| 5 | 8 | 1.7 |
|
|
|
1990 | 147 | 75 | 55 | 41.5 | 10 | 5 | 5 | 8 | 1.7 | 0.5 | 8 | 9 |
1994 | 147 | 75 | 55 | 41.5 | 10 | 5 | 5 | 8 | 1.7 | 0.5 | 8 | 9 |
1999 | 147 | 75 | 55 | 41.5 | 10 | 5 | 5 | 8 | 1.7 | 0.5 | 8 | 9 |
2004 | 147 | 75 | 55 | 41.5 | 10 | 5 | 5 | 8 | 1.7 | 0.5 | 8 | 9 |
2008 | 147 | 75 | 55 | 41.5 | 10 | 5 | 5 | 8 | 1.7 | 0.5 | 8 | 9 |
2009 | 147 | 75 | 55 | 41.5 | 10 | 5 | 5 | 8 | 1.7 | 0.5 | 8 | 9 |
2010 | 147 | 75 | 55 | 41.5 | 10 | 5 | 5 | 8 | 1.7 | 0.5 | 8 | 9 |
2011 | 147 | 75 | 55 | 41.5 | 10 | 5 | 5 | 8 | 1.7 | 0.5 | 8 | 9 |
2014 | 147 | 75 | 55 | 41.5 | 10 | 5 | 5 | 8 | 1.7 | 0.5 | 8 | 9 |
연도 | 강계철강 | 강계압연 | 강선압연 | 남포압연 | 성간압연 | 송림압연 | 개천압연 | 원산철강 | 주원철강 | 희천철강 | 합계 |
---|---|---|---|---|---|---|---|---|---|---|---|
1960 |
|
|
|
|
|
|
|
|
|
| 96 |
1970 |
|
|
|
|
|
|
|
|
|
| 162 |
1980 |
| 3 | 5 |
|
|
|
|
|
|
| 279.7 |
1990 | 5 | 3 | 5 | 3 | 2 | 3 | 2 | 5 | 5 | 5 | 403.7 |
1994 | 5 | 3 | 5 | 3 | 2 | 3 | 2 | 5 | 5 | 5 | 403.7 |
1999 | 5 | 3 | 5 | 3 | 2 | 3 | 2 | 5 | 5 | 5 | 403.7 |
2004 | 5 | 3 | 5 | 3 | 2 | 3 | 2 | 5 | 5 | 5 | 403.7 |
2008 | 5 | 3 | 5 | 3 | 2 | 3 | 2 | 5 | 5 | 5 | 403.7 |
2009 | 5 | 3 | 5 | 3 | 2 | 3 | 2 | 5 | 5 | 5 | 403.7 |
2010 | 5 | 3 | 5 | 3 | 2 | 3 | 2 | 5 | 5 | 5 | 403.7 |
2011 | 5 | 3 | 5 | 3 | 2 | 3 | 2 | 5 | 5 | 5 | 403.7 |
2014 | 5 | 3 | 5 | 3 | 2 | 3 | 2 | 5 | 5 | 5 | 403.7 |
압연강재는 김책제철소, 황해제철소, 천리마제강소와 성진제강소 순으로 생산능력이 많으며 그 비중은 각각 36.4%, 18.6%, 13.6%, 10.3%이다.
마. 주요 공장별 현황
북한의 주요 제철 · 제강소 현황
주요공장 | 생산능력 | 주요 원료 조달 | 생산제품 | 비 고 | ||
---|---|---|---|---|---|---|
원료 | 전력 | 수자원 | ||||
김책제철연합기업소(청진) | · 선철 222.7만톤 · 철강 240만톤 · 압연강재 147만톤 · 열간 : 107만톤 · 냉간 : 40만톤 | 무산에서 철광석을 공급받고 기타는 자급자족 | 북창화력 | 수성천 | 선철, 철강, 압연강재, 열연박판, 중판, 후판, 냉연박판, 열연코일, 아연도금판, 주석도금판 | 북한 제1의 종합제철소(5만명) |
황해제철연합기업소(송림) | · 제선 113.4만톤 · 강철 194.5만톤 · 압연강재 75만톤 | 은율, 재령, 사형, 안악으로부터 철광석 공급 | 자체발전소,평양화력 | 대동강 | 열연박판, 냉연박판, 중후판, 아연도금판, 각종 소형 형강류(봉강, 앵글, H형강, I형강, 구형강, 궤조 등) | 북한 제2의 종합제철소(1만명) |
성진제강소(김책) | · 선철 48만톤 · 철강 82만톤 · 압연강재 41.5만톤 | 김책제철 등 | 허천강 수력 | 용양천 | 중후판, 봉강, 스프링강, 합금강 | 군수측면에서 중요 (종업원 약 2만5천명) |
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천리마) | · 제강 76.4만톤 · 압연강재 55만톤 | 안주, 강서탄광, 은률, 재령광산 | 평양화력 | 대동강 | 일반 구조용 합금강, 삼화철, 탄소공구강, 스프링강, 기타 특수강, 스텐레스 스틸, 레일강편, 강재, 강관, 용접봉, 포신 | 종업원약 1만3천명 |
청진제강소(청진) | · 선철 96만톤 | 북부· 남부 탄전, 고원 탄광 | 부령수력 | 수성천 | 구조용 합금강, 고속도강, 슬라브 등 | 종업원약 8천명 |
보산제철소(천리마) | · 선철 42만톤 | 재령, 은율 | 평양화력 | 대동강 | 선철 | 종업원약 5천명 |
성간제강소(성간) | · 철강 10만톤 · 압연강재 8만톤 | n/a | 강계장자강 | n/a | 철강 | 종업원약 4천명 |
김책제철연합기업소
항목 | 내용 |
---|---|
개요 | · 함경북도 청진시 송평구역 사봉동에 소재하는 북한 최대의 종합야금 생산기지 · 인근에 수성천으로 공업용수의 확보가 용이하며 동부지역 최대의 철광산인 무산광산이 인접해 있어 철광석의 수송도 편리한 지점 · 라선·김책에 이르는 평라선과 회령에 이르는 함경선 철도가 연결되고 공장 구내까지 철도 인입선이 부설되어 있어 육상수송이 용이하며, 청진항 이용한 해운수송도 용이 · 청진제강소, 청진조선소, 나남탄광기계공장 등 이 주변에 위치하고 있어 유기적인 운영 · 동 기업소는 430만m2(130만평)정도의 부지에 5만여 명의 종업원을 가지고 있는 특급기업소로 철강생산능력이 연간 240만톤으로 북한 전체 능력의 37%를 차지 · 동 연합기업소의 산하에는 청진제강소, 석회석 공급 광산인 청암광산 및 중도광산, 청진관수송사 업소, 강덕내화물공장 등이 있음 · 동 시설에 대하여 김일성은 "김책제철의 '만부하 만가동(滿負荷,滿稼動,정상생산)'이 이뤄지지 않으면 잠이 오지 않는다"고 할 정도로 애착을 가졌다고 알려짐 |
연혁 | · 1938~1942년 일본의 미쓰비시(三菱)와 일본제철의 자본과 기술협력 하에 설립된 일본제철주식회사 청진제철소가 모체이며, 초기에는 전로 제철시설만을 보유한 단순한 제철소에 불과 · 1951년 2월 김책제철소로 개칭 · 1954년 10월 제1호 해탄로를, 1955년 5월에 제1호 용광로(25만톤)를 복구 · 1958년 11월 제2호 용광로(연산 25만톤)를 복구하여 조업을 시작 · 1974년 관련업체들을 통합하여 김책제철연합기업소로 기구체계를 개편 · 1976년 연산 100만톤급의 철강직장과 연산 85만톤급의 열간압연직장이 완공 · 1977년 무산광산에서 김책제철소까지의 98 km에 이르는 구간에 정광 수송관을 설치 · 1983년 1970년대 후반부터 건설 중이던 40만톤급 냉간압연직장의 조업을 확인 · 1989년 제강설비인 제3호 LD전로를 건설 · 2000년 5월 공압원심산 소분리기의 터빈팽창기를 송풍제동식으로 개조하여 연간 200만선의 산소 생산가능 설비를 구축 · 2003년 2월 일일생산능력 160~180톤 규모의 갈탄로를 가동 · 2003년 6월 해탄로·소결로·산소분리기 개조로 제강시간을 10배 단축 · 2005년 2월 소결로와 해탄로 건물을 개보수하고 코크스탄 저장시설의 소폭 신축공사 · 2006년 해탄로 및 용광로 수리공사를 실시· 2007년 10월 산소분리기 공장을 신설 · 2011년 중유강편 생산체계를 강편 생산체계로 전환 · 2013년 제3호 용광로 대보수 |
부문별생산능력과설비 | · [제선부문] 2010년 말 연산 222.7만톤의 생산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철광석과 코크스 등의 원료를 뒷받침하지 못하는 데다 동절기에는 무산광산~김책제철소간의 정광 수송라인이 동결되는 등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코크스의 조달, 설비의 보수와 확장에 필요한 외자도입의 지연 등도 생산량 확대에 어려움 · [제강부문] 1989년 9월 3호 LD전로를 완공함으로써 LD전로에 의한 생산능력이 200만톤으로 제고되어 제강 생산능력이 240만톤으로 증가하였다. 김책제철소는 6기의 전로와 3기의 LD전로를 보유 · [압연강재] 김책제철소는 설립당시 제강 및 압연시설이 없는 단순한 제철소에 불과하였으나 1960년에 제1박 판직장을 건설한 이래로 압연을 생산하기 시작하여, 동 제철소는 압연부문에서 147만톤의 생산능력을 갖춤 |
원자재 조달체계 | · 주원료인 철광석은 무산광산에서 철정광이 98km의 운송관(1977년 완성)과 철도로 강덕원료장에 옮겨져 탈수된 후 저장되었다가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김책제철소로 운송 · 철강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코크스탄의 도입이 대단히 중요하다. 김책제철소의 중대형 고로 1, 2, 3호 등 총 7기의 용광로 등에서 선철의 최대 생산능력이 223만톤인데 선철 1톤 당 코크스 0.6톤, 코크스 1톤당 코크스탄 1.33톤이 필요하므로 약 173만톤의 원료탄이 필요 · 기타 원료로서 제철용 부원료인 석회석, 규석과 사문암 등은 풍부한 매장량을 가지고 있어 자급자족 · 전력은 자체 화력발전소(5만㎾)와 청진화력 (15만㎾)을 주요 전력공급원으로 하고 있으며 서두수발전소(51만kW)를 보조공급원으로 하고 있음 |
제품 공급체계 | · 철강제품은 내각 산하 금속공업성 자재총국의 관리 하에 서부지역 공급을 위해서는 간리 강재판매소로, 동부지역 공급을 위해서는 흥남강재판매소로 공급된다. 최종적인 공급처로는 주로 성진제강연합기업소, 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와 금속·기계공장 등이 있음 |
황해제철연합기업소
항목 | 내용 |
---|---|
개요 | · 황해북도 송림시 송산동의 대동강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접한 송림, 은율, 재령, 태탄, 덕현 광산으로부터 철광석을 공급받아 철강을 생산하는 북한 제2의 종합제철소 · 대동강 수로와 함께 남동쪽 약 1.7km지점에 송림 역이 있어 철도를 이용할 수 있고, 송림시와 황주간을 연결하는 도로가 동 제철소의 북동 약 2.5km지점에서 비포장 2차선 도로로 연결되는 등 편리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으나 대동강 수로는 규모가 작아 대형 선박의 이용에는 어려움 · 동 기업소는 평양을 중심으로 한 공업지구에 위치하고 있어 관련 산업 간의 유기적인 운영이 가능 · 전력은 동 제철소 내에 위치한 자체 화력발전소 및 평양 화력발전소에서 공급받고 있으며, 석탄은 안주탄광, 강서탄광(평남 소재)으로부터, 석회석은 승호리, 신덕, 송림광산에서 공급받고 있음 · 종업원 약 1만 명 정도의 특급기업소이며 부지면적은 330만m2(100만평)정도 · 북한에서는 자동화와 원격 조종장치 등 최신식 설비를 갖춘 공장으로서 외국의 사절이나 대표단이 오면 이곳을 견학시킴 · 동 기업소에는 조강직장, 용광로직장, 강철직장, 소결로직장, 청년선재직장, 박판직장, 산소분리기직장, 내화물직장, 지관직장 및 중량레일 생산기지 등이 있음 |
연혁 | · 1918년 일본의 미쓰비시(三菱)그룹에 의해 설립된 겸이포제철소를 모체로 하고 있으며 광복 전까지 주로 선철을 생산 · 1947년 일본의 패망 시 파괴된 시설을 복구하여 조업을 시작, 한국전쟁으로 다시 폐허 · 1958년에 용광로 1기(연산 25만톤), 평로 1 기(연산 5.9만톤)의 조업을 시작 · 1960년에 후판압연직장(연산 15만톤)을 개조하고 박판맙연직장(연산 6만톤)을 건설 · 1962년 조강직장(연산 30만톤) 및 2차 가공직장(연산 40만톤)을 건설 · 1970년 연산 5만톤 정도의 선재압연 직장을 건설 · 1980년 생산공정 자동원격조정 시스템 가동 · 1983년 200톤급 저로(低爐)완공 조업 · 1987년 불수(스테인리스 스틸)강판직장(연산 1만톤 능력)건설 조업 · 1988년 연속조괴기 완공 조업 · 1997년 1,2호 평로 대보수 작업 · 1998년 산소분리기 생산능력 확장공사와 산화 알탄공장 공사를 추진 · 1999년 2월에는 외국에 의존해야하는 코크스탄이 아닌 북한 자체로 조달이 가능한 무연탄을 이용 하여 철을 생산한다는 산소열법용광로를 건설하고 조업식을 진행 · 2005년 100톤 전기로 조업 · 2009년에는 구내수송선 현대화를 실현 · 2010년 코크스를 쓰지 않고 무연탄 등 국내원료와 연료로 철을 생산할 수 있는 생산체계를 도입(실제 가동되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음) · 2015년 주체철 생산시설인 무연탄가스발생로 등 설치(실제 가동되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음) |
생산능력과생산설비 | · 생산제품은 선철, 철강, 압연강재와 레일 등 철강제품 20여종 및 내화물, 비료, 콘크리트관과 광재 (鑛滓)솜 등 · 2010년말 기준 제선 113.4만톤, 제강 194.5만톤, 압연강재 75만톤의 생산능력을 보유 · [제선부문] 8기의 용광로와 2기의 회전로를 보유 · [제강부문] 2010년 6기의 평로와 2기의 전로, 1기의 전기로 · [압연강재] 15만톤의 후판압연공장(1960년), 6만톤 규모의 박판압연공장(1960년), 6천톤 생산능력의 아연도금판공장(1961년), 40만톤 생산능력의 2차 가공공장 및 30만톤 생산능력의 조강직장을 건설(1962년), 40만톤 생산능력의 분괴압연공장(1964년), 3만톤 규모의 냉각박판공장(1967년) |
원자재 조달체계 | · 주원료인 철광석은 연간 약 184만톤으로 주로 은율, 재령, 하성과 안악 광산 등 서부지역의 광산에서 공급 · 1970년대 초까지도 갈철광을 식별만 실시한 괴광으로 용광로에 장입하였으나 1972년부터 소결로 및 환원구단광 설비를 설치하는 등 예비처리를 강화 · 공급되는 철광석의 품위는 철함량 45~50%가 대부분인데 갈철광은 환광성이 나빠 장기적으로 볼 때 효과적인 갈철광의 선광방법이 도입되지 않고는 적극적인 품위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움 · 전력은 동 제철소 내에 위치한 자체 화력발전소 및 평양 화력발전소에서 공급받고 있으며, 석탄은 안주탄광, 강서탄광(평남 소재)으로부터, 석회석은 승호리, 신덕, 송림광산에서 공급받고 있음 |
3. 비철금속공업(유색금속공업)
북한의 비철금속산업이 발전하게 된 계기는 1915년에 진남제련소가 건설되면서 시작되었으며, 1930년대 말까지 6개의 제련소가 건설되었다. 그러나 이들 제련소들은 한국전쟁 중 거의 파괴되었으며 전후(戰後) 복구와 확장공사를 통해 1960년대 초반에 이르러서야 생산이 이루어졌다.
북한이 비철금속산업 발전에 본격적인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부터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의 비철금속부문에는 해방 전에 건설되어 개보수·확장된 남포, 문평과 흥남 등 3대 제련소와 1980년대에 건설한 운흥(銅), 평북(金, 銅), 해주10월13일(鉛), 단천(亞鉛), 9월21일(亞鉛) 제련소와 북창알루미늄공장 등이 있다. 특히, 1983년 북창알루미늄공장 건설을 계기로 알루미늄과 텅스텐, 니오븀, 세륨 등 희유금속(稀有金屬)의 생산이 강화되었다. 이들 공장설비의 생산능력은 구리 4.9만톤, 납 9.3만톤, 아연 30.5만톤, 알루미늄 2.4만톤 등 총 47.1만톤에 달한다.
북한의 제련기술 및 생산설비는 아직까지 국제수준에 비해 상당히 저조한 수준에 머물고 있으나 유색금속 제품은 외화가득률이 높아 북한의 주요 수출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주요 수출시장은 중국, 구소련과 동유럽국가 등이었으나 최근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자본주의 국가에도 상당량을 수출하고 있다. 북한의 비철금속제품 수출실적을 보면 1991년 11.5백만 달러 수준에서 2004년에는 62백만 달러규모로 증가하여 동기간 중 연평균 13.8%의 수출증가율을 기록하였다. 2006년 8월에는 비철금속 생산 활성화를 위해[유색금속법]을 제정하였는데, 동법은 5장 46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색금속의 생산, 공급과 이용, 회수, 수매, 관리 등에서 지켜야 할 원칙들을 규정해 놓았다. 비철금속이 북한의 외화가득에 중요한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설비노후화 및 환경오염문제로 인해 북한은 2000년 12월에 대표적인 아연제련소인 남포제련소와 211호 제련소를 철거하였다.
가. 관리체계
내각의 금속공업성에서 관장하고 있으며 원료를 공급하는 채취공업성과 석탄공업 성과는 유기적인 연계를 맺고 있다. 북한은 비철금속 공장을 내각·당·군으로 3원화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공장이 내각 산하이나 외화벌이 여건이 좋은 공장·기업소는 대부분 당·군 산하에서 관리하고 있다.
소관부처별 공장 · 기업소
소속 | 소관부처 | 주요 공장 · 기업소 |
---|---|---|
내각(內閣) | 금속공업성 | 문평제련소, 아인공업총회사(단천제련소 포함), 흥남제련소 10.13청년제련소, 해주제련소, 운홍제련소, 평북제련소, 문천아연제련소, 용암포제련소, 원산금제련소 등 |
당(黨) | 제2경제위원회 | 9.21제련소(문천아연잔사처리공장), 북창알미늄 등 |
군(軍) | 인민무력성 | 7.27제련소(흥남제2제련소) 등 |
나. 비철금속공업 정책추진과정
북한의 유색금속공업 정책 추진과정
구 분 | 정책 추진과정 |
---|---|
해방직후 50년대 | · 해방전의 문평 · 흥남제련소와 남포 · 해주제련소 가동 -1959년까지 기존시설 복구, 조업 |
1960년대 | · 남포제련소에 최초의 유색압연직장 건설(1962년) |
1970년대 | · 유색금속 생산능력 제고 - 회유금속과 순금속의 수요보장 목표 수립 · 문평제련 · 해주제련소 중심 시설확장 |
1980년대 | · 생산목표 170만톤 이상 책정 - 대규모 경금속 생산기지 건설 -마그네슘, 티탄 생산기지 신규 확보에 주력 |
1990년대 | · 외지도입을 통한 노후설비 현대화 추진 |
2000년대 | · 생산 확대를 위한 역량 집중 · 여타 부분에 비한 지원 및 개혁 추진 · 주요금속공장 개건현대화 추진 |
2010년대 | · 각급 제련소 설계 현대화 · 운흥제련소 개건 확장공사 (2012.6), 단천제련소, 산화아연 생산공정 건설 (2013.7), 평북제련소 정련시설 확장공사 (2013.8), 7월27일 제련소 정련시설 재건축 (2014.10) |
다. 북한 비철금속 부문의 생산능력
북한 비철금속 부문의 공장별, 제품별 생산능력
구 분 | 동 | 납 | 아연 | |||
---|---|---|---|---|---|---|
능력 | 비중 | 능력 | 비중 | 능력 | 비중 | |
문평제련소 |
|
| 35 | 37.65 | 110 | 36 |
단천제련소 |
|
|
|
| 100 | 32.8 |
문천아연제련소 |
|
|
|
| 65 | 21.3 |
흥남제련소 | 4 | 8.2 | 12.5 | 13.4 |
|
|
운흥제련소 | 25 | 51 |
|
|
|
|
평북제련소 | 20 | 40.8 |
|
|
|
|
해주1013제련소 |
|
| 35 | 37.65 |
|
|
9.21제련소 |
|
| 10 | 10.8 | 30 | 9.9 |
북창알루미늄공장 |
|
|
|
|
|
|
7월27일제련소 |
|
|
|
|
|
|
기 타 |
|
| 0.5 | 0.5 |
|
|
합 계 | 49 | 100 | 93 | 100 | 305 | 100 |
구 분 | 알루미늄 | 금(톤) | 은(톤) | 니켈 | 주석 | 안티몬 | 카드뮴 |
---|---|---|---|---|---|---|---|
문평제련소 |
| 0.6 | 40 |
| 0.15 | 0.05 | 0.45 |
단천제련소 |
|
|
|
|
|
|
|
문천아연제련소 |
|
|
|
|
|
|
|
흥남제련소 |
| 0.08 |
| 1.5 |
|
|
|
운흥제련소 |
|
|
|
|
|
|
|
평북제련소 |
| 1 | 20 |
|
|
|
|
해주1013제련소 |
| 0.01 |
|
|
|
|
|
9.21제련소 |
| 1 |
|
|
|
|
|
북창알루미늄공장 | 24 |
|
|
|
|
|
|
7월27일제련소 |
| 1 | 10 |
|
|
|
|
기 타 |
| 10.94 |
|
|
|
|
|
합 계 | 24 | 14.63 | 70 | 1.5 | 0.15 | 0.05 | 0.45 |
주 : 은(銀)은 10개 제련소와 58개 광산의 합계치임
주 : 문천아연제련소 6만5천톤은 남포제련소 설비가 이전되어 2만톤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한 것임
남북한 비철금속 생산능력 추이
연 도 | 납 | 아 연 | ||
---|---|---|---|---|
한 국 | 북 한 | 한 국 | 북 한 | |
1995 | 17.5 | 8.8 | 28.5 | 29.5 |
1996 | 14.1 | 8.8 | 27.0 | 29.5 |
1997 | 17.8 | 8.8 | 34.5 | 29.5 |
1998 | 19.1 | 8.8 | 38.9 | 29.5 |
1999 | 19.0 | 8.8 | 42.6 | 29.5 |
2000 | 21.9 | 8.8 | 47.5 | 24.0 |
2001 | 21.1 | 8.8 | 50.3 | 24.0 |
2002 | 24.3 | 8.8 | 60.8 | 24.0 |
2003 | 21.9 | 8.8 | 65.2 | 24.0 |
2004 | 22.5 | 8.8 | 65.6 | 24.0 |
2005 | 24.5 | 9.3 | 64.6 | 30.5 |
2006 | 24.1 | 9.3 | 66.0 | 30.5 |
2007 | 25.5 | 9.3 | 68.3 | 30.5 |
2008 | 27.1 | 9.3 | 73.7 | 30.5 |
2009 | 32.7 | 9.3 | 75.1 | 30.5 |
2010 | 32.1 | 9.3 | 75.0 | 30.5 |
2011 | 42.2 | 9.3 | 82.8 | 30.5 |
2012 | 46.0 | 9.3 | 87.7 | 30.5 |
2013 | 47.3 | 9.3 | 88.6 | 30.5 |
2014 | 63.9 | 9.3 | 90.1 | 30.5 |
2015 | 64.1 | 9.3 | 93.5 | 30.5 |
2016 | 83.1 | 9.3 | 101.4 | 30.5 |
2017 | 80.0 | 9.3 | 97.0 | 30.5 |
2018 | 80.0 | 9.3 | 98.9 | 30.5 |
2019 | 80.3 | 9.3 | 98.6 | 30.5 |
2020 | 77.7 | 9.3 | 98.7 | 30.5 |
2021(잠정치) | 82.0 | 9.8 | 94.8 | 37.5 |
자료 : 통계청
라. 주요 공장 현황
북한에서 가동 중인 주요 비철금속기업소로는 동부지역에 위치한 문평제련소, 함흥제련소, 단천제련소, 9월21일제련소, 2004년에 신설된 문천아연제련소와 서부지역의 해주제련소를 비롯한 평북제련소, 북창알루미늄공장, 부산알루미나공장, 평양비철금속공장 등을 들 수 있다. 북한의 최대 구리 생산공장이었던 남포제련소는 2000년 12월경에 설비의 노후화로 인해 철거되었다. 철거된 남포제련소를 비롯한 해주·함흥·문평 제련소 등은 일제강점기에 건설된 시설들이고 나머지는 그 이후에 건설되었다.
문평제련소
항목 | 내용 |
---|---|
개요 | · 강원도 원산 북방 12km 지역의 해안가에 위치한 문천시 문평동에 소재하는 북한 동해안 최대의 비철금속 생산기지 · 이 제련소는 검덕과 계은 등의 광산으로부터 광물을 공급받고 있으며 소결로, 용광로, 반사로와 전해조 등의 제련시설을 갖추고 주로 전기납·전기아연을 생산 · 부산물로부터 금과 은을 비롯하여 안티몬 등의 희유금속과 비료도 생산 · 1990년대 이후에는 검덕광산에서 생산되는 광물이 부족하고 또 전기분해시 필요한 전력이 모자라 전기납과 전기아연 등 비철금속 생산이 극히 부진한 실정 · 동 공장은 종업원 약 7,300명의 특급 기업소로서 부지면적 220만㎡(67만 평), 건평 17.9만㎡(5.4만 평) |
연혁 | · 1938년에 일본이 원산제철소로 창설한 이래 한국전쟁 후 복구 · 1960년대 걸쳐 대규모 시설확장 · 1983년 소결로 현대화 공사를 완공, 납제련공정에 안티몬 회수공정설비를 건설 · 1985년 아연제련 공정에 고산·고온법을 도입(제련회수율을 10% 상승) · 1991년 4천선의 먼지잡이 공정을 신축하여 먼지잡이 비율을 92.5%까지 높여 비철금속을 다량 회수 · 2006년 비철금속 제련공정에 공기취입식환원용련로가 아닌 밀폐식전기로를 건설 · 2007년 비철금속 제련공정 괴선별장을 현대화 · 2009년 4월 석회질소 비료생산공장 건설을 추진 · 2009년12월 석회질소 비료생산공장 완공 |
생산능력 | · 생산능력은 납 3.5만톤, 조연 5.9만톤, 아연 11만톤, 금 0.6톤, 은 40톤, 주석 120톤, 안티몬 100톤, 카드뮴 450톤, 황산 9만톤 등 |
원자재 조달체계 | · 납·아연 광석은 북한 최대의 납·아연 광산인 함남 검덕광산을 비롯하여 산곡, 대흥, 천남 광산과 강원도 문천, 계은, 금곡 광산 등에서 공급받고 있으며 연간 소요량은 납정광(Pb 60%) 약 10만톤, 아연정광(Zn 55%) 약 22만톤 규모 · 전력은 장진강수력발전소와 부전강수력발전소에서 공급 · 동 제련소는 원산 양지동에서 함남 고원까지 연결된 5, 7번 도로 옆에 건설되어 있고, 함경선 철도가 5, 7번 도로와 나란히 지나고 있어 교통망이 양호 · 공장 뒤쪽에 있는 이섭산(235m) 전후 사면으로 동해로 이어지는 하천이 흐르고 있어 용수가 풍부 |
(2023.7월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