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북한매체 키워드

북한매체에서 분석한 주요 키워드입니다.

흩어진 북한정보를 빅데이터로 모아 한눈에

북한정보포털

흩어진 북한정보를 빅데이터로 모아 한눈에

주간
이슈

최신 뉴스

링크이동
    • 국방부, 북에 군사회담 제안…“군사분계선 설정 논의”
      군 “북한군, 지속적 MDL 침범…군사적 긴장·충돌 가능성 우려” 국방부가 17일 남북 군사회담을 공식 제안했다. 빈번해진 북한군의 군사분계선(MDL) 침범으로 인한 우발적 충돌 방지를 논의하자는 취지다. 남북 대화 재개를 모색하려는 이재명 정부의 첫 공식 회담 제안이지만 북한이 호응할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 나온다. 국방부는 이날 김홍철 국방부 정책실
    • ‘헌법존중 TF’의 공무원 휴대폰 포렌식…과거엔 민주당도 사찰 지적
      12·3 불법계엄에 가담한 공직자를 조사하는 헌법존중 정부혁신 태스크포스(TF)가 헌법상 기본권을 침해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영장 없이 휴대전화 제출을 유도해 디지털 포렌식(증거 분석)하는 방식은 과거 더불어민주당이 위헌적이라고 지적한 데다 TF 설치에 법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국무총리실은 지난 11일 헌법존중 TF 추진계획에서 공직자
    • (2nd LD) S. Korea proposes military talks with N. Korea to prevent possible clashes at border
      (ATTN: ADDS details) By Lee Minji and Kim Hyun-soo SEOUL, Nov. 17 (Yonhap) -- South Korea on Monday proposed holding military talks with North Korea to discuss how to clarify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in a bid to prevent possible clashes near the inter-Korean border. The proposal came as North Korean soldiers -- including those who were armed -- have temporarily albeit repeatedly crossed the MDL on several occasions while working near the border, such as clearing land or laying mines in the buffer zone. It marks Seoul's first official proposal for talks with the North since President Lee Jae Myung took office in June, with a pledge to mend frayed ties with the North and create conditions for dialogue. "Our military officially suggests holding inter-Korean talks between military authorities to discuss how to establish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to prevent accidental clashes and ease military tensions," Kim Hong-cheol, deputy minister for national defense policy, said in a statement. "We anticipate the North's positive and swift response to our proposal, aimed at reducing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restoring military trust," Kim said, adding that Seoul is open to discussing details of the talks, including its venue and schedule. Since April last year, North Korea has deployed troops near the MDL within the Demilitarized Zone to plant mines, erect anti-tank barriers and reinforce barbed wire fences after the country's leader Kim Jong-un described inter-Korean ties as those between "two states hostile to each other" in late 2023. North Korean troops are known to have intruded over the border about 10 times this year alone, including in October when two North Korean soldiers briefly crossed the border in an attempt to chase another North Korean soldier defecting to the South. In response, the South Korean military has broadcast a warning message when North Korean troops moved close to the MDL and subsequently fired warning shots when they violated the boundary. In the statement, Kim, the ministry official, said the MDL violations appear to have occurred as indicators marking the land border -- that were installed in 1953 a month after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that ended the 1950-53 Korean War -- have been lost. Nearly 1,300 markers, comprising signs on concrete posts that stand roughly 1-meter tall, were installed but only about one-sixth of them are identifiable. Maintenance efforts by the U.N. Command (UNC) have been suspended since the North fired at workers conducting the job in 1973. Alongside the proposal for the military talks, the military has removed border loudspeakers and suspended airing propaganda broadcasts as part of efforts to restore inter-Korean trust. But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e North, which has remained unresponsive to Lee's call for dialogue, will respond to the proposal. In July, Kim Yo-jong, the influential sister of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ruled out engagement with South Korea, saying that the North is not interested in any policy or proposal from Seoul and will not sit down for talks. In the following month, North Korea denounced the South for firing warning shots at North Korean soldiers, urging Seoul to stop its "premeditated and deliberate" provocations that are "inciting military conflict." If held, it will mark the first inter-Korean military talks since the two Koreas held general-level military talks in 2018. They have held two ministerial-level talks and 40 working-level talks since 2000, according to the ministry. Addressing the proposal, the UNC said it remains "committed to supporting efforts that uphold the principles of the Armistice and reduce the risk of escalation" and is closely coordinating with the defense ministry to assess the situation and explore appropriate mechanisms for dialogue. mlee@yna.co.kr (END)
    • 국방부, “유실된 군사분계선 팻말 기준 설정 남북 군사회담 제의”
      국방부가 남북 군사회담을 북한에 제안했다. 비무장지대(DMZ) 내 우발적 충돌을 막기 위한 군사분계선(MDL) 표식물 정비 문제를 논의하자는 것이다. 무겁지 않은 군사 실무 현안을 의제로 막혀 있는 대화의 물꼬를 터보려는 의도로 보인다. 국방부는 17일 오후 김홍철 국방정책실장 명의로 ‘비무장지대 군사분계선 관련 회담 제안을 위한 담화’를 내어 “북한군의
    • 李정부, 끊어진 채널 확보 ‘다목적 포석’ 첫 군사회담 제안…“北 호응 부정적”
      李정부, 남북군사회담 첫 제안…“군사분계선 기준선 논의하자” 성사 시 2018년 이후 7년만…“구체 일정은 판문점서 협의” 북 “한국과 마주 앉을 일 없어” 밝혀 와…호응 가능성 낮아 국방부는 17일 “비무장지대(DMZ) 군사분계선(MDL) 기준선 설정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라며 북한에 군사회담을 제안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남북군사회담 제안으로
    • (LEAD) S. Korea proposes military talks with N. Korea to prevent possible clashes at border
      (ATTN: ADDS details throughout, photo) By Lee Minji and Kim Hyun-soo SEOUL, Nov. 17 (Yonhap) -- South Korea on Monday proposed holding military talks with North Korea to discuss how to clarify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in a bid to prevent possible clashes near the inter-Korean border. The proposal came as North Korean soldiers -- including those who were armed -- have temporarily albeit repeatedly crossed the MDL on several occasions while working near the border, such as clearing land or laying mines in the buffer zone. It marks Seoul's first official proposal for talks with the North since President Lee Jae Myung took office in June, with a pledge to mend frayed ties with the North and create conditions for dialogue. "Our military officially suggests holding inter-Korean talks between military authorities to discuss how to establish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to prevent accidental clashes and ease military tensions," Kim Hong-cheol, deputy minister for national defense policy, said in a statement. "We anticipate the North's positive and swift response to our proposal, aimed at reducing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restoring military trust," Kim said, adding that Seoul is open to discussing details of the talks, including its venue and schedule. Since April last year, North Korea has deployed troops near the MDL within the Demilitarized Zone to plant mines, erect anti-tank barriers and reinforce barbed wire fences after the country's leader Kim Jong-un described inter-Korean ties as those between "two states hostile to each other" in late 2023. North Korean troops are known to have intruded over the border about 10 times this year alone, including in October when two North Korean soldiers briefly crossed the border in an attempt to chase another North Korean soldier defecting to the South. In response, the South Korean military has broadcast a warning message when North Korean troops moved close to the MDL and subsequently fired warning shots when they violated the boundary. In the statement, Kim, the ministry official, said the MDL violations appear to have occurred as indicators marking the land border -- that were installed in 1953 a month after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that ended the 1950-53 Korean War -- have been lost. Nearly 1,300 markers, comprising signs on concrete posts that stand roughly 1-meter tall, were installed but only about one-sixth of them are identifiable. Alongside the proposal for the military talks, the military has removed border loudspeakers and suspended airing propaganda broadcasts as part of efforts to restore inter-Korean trust. But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e North, which has remained unresponsive to Lee's call for dialogue, will respond to the proposal. In August, North Korea denounced the South for firing warning shots at North Korean soldiers, urging Seoul to stop its "premeditated and deliberate" provocations that are "inciting military conflict." If held, it will mark the first inter-Korean military talks since the two Koreas held general-level military talks in 2018. They have held two ministerial-level talks and 40 working-level talks since 2000, according to the ministry. mlee@yna.co.kr (END)
    • 軍, 남북군사회담 제안…"군사분계선 기준선 설정 논의하자"(종합)
      이재명 정부 들어 첫 남북회담 제안…군 "북의 긍정적이고 빠른 호응 기대" "MDL 표지판 상당수 유실, 북한군 지속 침범해 긴장 높아져"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김철선 기자 = 군이 17일 비무장지대(DMZ) 내 군사분계선(MDL) 기준선 설정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남북 군사당국회담을 북한에 공식 제안했다. 유실된 MDL 표식이 많아 북한군이 우리 지역을 침범하는 상황이 많고 우발적 충돌로 이어질 수 있으니 회담을 열어 기준선 설정을 논의하자는 것으로, 북한의 반응이 주목된다. 이재명 정부 들어 남북회담을 공식 제안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홍철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은 이날 '비무장지대 군사분계선 관련 회담 제안을 위한 담화'를 통해 "최근 북한군이 비무장지대 내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전술도로와 철책선을 설치하고 지뢰를 매설하는 과정에서 일부 인원들이 군사분계선을 넘어 우리 지역을 침범하는 상황이 지속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군은 작전수행절차에 따라 경고방송, 경고사격을 통해 북한군이 군사분계선 이북으로 퇴거토록 조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군의 군사분계선 침범과 절차에 따른 우리 군의 대응이 지속되면서 비무장지대 내 긴장이 높아지고 있으며, 자칫 남북간 군사적 충돌로 이어질 가능성도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고,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군사분계선 기준선 설정에 관한 회담을 제안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구체적인 회담 일정, 장소 등은 판문점을 통해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반도 긴장 완화와 군사적 신뢰 회복을 위한 제안에 대해 북측의 긍정적이고 빠른 호응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남북 군 통신선이 모두 단절된 상황이어서 우리 군의 회담 제안은 이날 '유엔군사령부-북한군' 채널을 통해 북측에 전달된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오늘 오전과 오후 두 차례에 걸쳐 유엔사-북한군 채널을 통해 공식 회담 제안을 북측에 전달됐지만, 아직까지 응답이 없는 상태"라고 밝혔다. 군 당국은 이날 공식 회담 제안 이전에도 군사분계선 기준선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협의하자는 의사를 같은 채널로 수 차례 북측에 통보했지만, 북한은 묵묵부답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체결 후 같은 해 8월 군사분계선을 표시하기 위해 500m 이내 간격으로 표지판 1천292개가 설치됐지만, 1973년 유엔사 측의 표지판 보수 작업 중 북한군이 총격을 가하는 일이 발생해 이후로는 보수 작업이 중단됐다. 이후 50여년 동안 상당수 표지판이 유실됐고 지형의 변화로 식별되지 않는 것은 많아, 현재 우리 군이 확인할 수 있는 표지판은 200여개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실장은 북한군이 작년 4월 DMZ 내 작업을 본격 시작한 이후 군사분계선을 반복적으로 침범하는 것에 대해 "1953년 정전협정 체결 당시 설치했던 군사분계선 표식물이 상당수 유실돼, 일부 지역의 경계선에 대해 남측과 북측이 서로 인식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북한군이 DMZ를 침범한 사례는 지난해 10차례 미만이었지만, 올해는 10차례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현재 상황에서 우리가 제안한 것은 MDL 인식에 대한 부분을 일치시키자는 것"이라며 "인식이 공유되는 부분(지역)은 그대로 하고, 표지판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은 확인해서 새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일치가 안 되면 계속 협의할 수 있다"며 "남북 회담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국방부가 군사분계선 기준선 설정을 위한 남북 군사회담을 제안한 것은 남북 소통 채널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도 풀이된다. 북한은 2023년 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남북을 '적대적 두 국가관계'로 규정한 이후 남측과의 대화에 일절 응하지 않고 있다. 남북 군사회담은 2000년 이후 국방장관 회담이 2회, 장성급 회담이 10회, 실무회담이 40회 열렸지만, 2018년 10월 제10차 장성급 회담 이후로는 7년 이상 열리지 않고 있다. hojun@yna.co.kr
    • 업데이트 3-미국, 무역 협상에서 조선 투자 및 잠수함 관련 세부 사항 공개
      * 트럼프-리 정상회담 2주 후 공동 팩트 시트 발표 * 미국, 한국의 핵잠수함 건조 승인 * 한국의 통화 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 (5-7, 16번 문단의 맥락과 분석 추가, 15번 문단의 칩 관세에 대한 세부 사항, 20-22번 문단의 분석가) By 박주민, 카니쉬카 싱 서울/워싱턴, 11월 14일 (로이터) - 미국과 한국은 금요일 미국 조선 부문에 대한 한국의 1,500억 달러 투자와 산업 부문에 배정된 추가 2,000억 달러가 포함된 무역 협정의 세부 사항을 발표했다고 한미 양국이 밝혔다. 이번 공동 발표는 지난 10월 이재명 한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만나 한국 제품에 대한 미국의 수입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는 합의에 합의한 데 따른 것입니다. 이 대통령은 금요일 "마침내 우리 경제와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변수 중 하나였던 한미 무역, 통상, 안보 협상이 타결됐다"고 말했다. 이어 "좋은 경쟁에는 훌륭한 파트너가 필요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합리적 결단이 의미 있는 합의를 도출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발표는 전 세계 무역 파트너를 겨냥한 트럼프의 관세 부과를 둘러싼 3개월 이상의 논쟁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특히 한국은 반도체와 자동차 등 주요 수출품에 대한 관세 부과가 예상되면서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5개월 전 전임자의 계엄령 선포 실패의 충격에서 벗어나기 위해 취임한 이 대통령은 경제적 위협을 한국의 무역 및 안보 위상을 높일 기회로 전환하여 조기 외교적 승리를 거두려고 노력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번 합의에 따라 한국은 조선, 인공 지능 및 원자력 산업에서 미국과 새로운 파트너십을 형성하여 "미국이 과거에 한국을 도왔던 것처럼 동맹국이 중요한 산업을 재건하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백악관이 발표한 팩트 시트는 미국이 한국의 원자력 추진 잠수함 건조를 승인했으며 미국은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길"을 찾기 위해 한국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은 한국이 조선 부문에 1,500억 달러를 포함하여 미국에 3,500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외환 안정 미국은 또한 원화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3,500억 달러 패키지의 일부로 2,000억 달러의 현금 투자를 연간 200억 달러 이하로 분할해 달라는 한국의 요청을 받아들였습니다. 팩트 시트는 양국이 한국의 투자가 "시장 불안정을 야기해서는 안된다"는 "상호 이해"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불안정성의 징후가 나타나면 한국은 "자금의 양과 시기의 조정을 요청할 수 있으며 미국은 그러한 요청을 성실하게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자동차를 포함한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와 같은 기업이 생산하는 또 다른 주요 수출 품목인 칩은 대만보다 유리한 관세 조건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대통령 고문은 말했다. 미국과의 합의는 이 대통령이 핵 추진 잠수함 건조와 원자력 에너지 역량 확대를 위한 길을 열어 주요 안보 및 에너지 이니셔티브에 진출했음을 보여줍니다. 이 대통령의 국가 안보 보좌관은 양국이 핵 추진 잠수함이 한국에서 건조된다는 "전제"하에 핵 추진 잠수함 문제를 논의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잠수함이 필라델피아에 있는 한국 소유 조선소에서 건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협정에 따라 미국은 한국이 우라늄 농축과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 방법을 찾는 데 협력하기로 약속했습니다. 분석가들은 한국이 유럽과 일본보다 더 나은 거래를 얻었는지 말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국가안보연구원의 두진호 안보 분석가는 핵잠수함 확보가 "게임 체인저는 아니지만, 북한에 대한 억지력을 강화하기 위한 다른 어떤 무기 체계보다 확실히 낫다"고 말했다. 전 해군 장교 출신으로 현재 경남대 교수인 김동엽은 핵 에너지와 안보에 대한 합의는 한국이 국방비를 훨씬 더 많이 지불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 대통령은 "불가피한 선택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공동성명에서 미국은 "(한국의) 민간 우라늄 농축과 평화적 용도를 위한 사용 후 연료 재처리로 이어질 과정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한국은 관세를 낮추는 대가로 미국 프로젝트에 수 천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합의한 무역 협정이 7월에 처음 공개되었습니다. (워싱턴의 카니시카 싱, 박주민, 김희진, 신시아 김, 진현주, 이지훈 기자, 서울의 잭 김 글, 에드 데이비스와 토마스 더핑하우스 편집)
    • '새롭고 유익한' 관계를 위해 북한 김정은을 만날 준비가 된 일본 지도자
      도쿄, 11월 14일 (로이터) - 사나에 다카이치 일본 총리는 금요일 "새롭고 유익한 일-북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대면"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카이치는 1970~80년대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옵션도 배제하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교도통신은 지난주 다카이치 총리가 정상회담을 위해 평양에 연락을 취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0월 일본을 방문해 납북 일본인 가족들을 만났다. (고미야 칸타로 기자, 에이단 루이스 편집)
    • 러시아, 북한군이 쿠르스크 지역 광산 제거에 핵심적인 역할을했다고 말함
      By 마크 트레벨리안 11월 14일 (로이터) - 러시아가 서부 쿠르스크 지역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대규모 침공을 격퇴하는 데 도움을 준 북한군이 현재 이 지역의 지뢰 제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러시아 국방부가 금요일 밝혔다. 한국과 우크라이나, 서방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은 양국 간 상호 방위 조약에 따라 지난해 쿠르스크에서 러시아와 함께 싸우기 위해 약 14,000명의 군인을 파견했으며 6,000명 이상이 사망했다. 우크라이나군은 2024년 8월 국경을 넘어와 수개월 동안 상당한 영토를 점령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4월에 러시아가 북한의 도움으로 마침내 그들을 몰아냈다고 말했습니다. 러시아의 지뢰 제거 작전에서 북한의 중요한 역할은 지난달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멈추지 않고 전진할 것"이라고 말한 군사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려는 양측의 열망을 강조합니다. 러시아 국방부가 공개한 영상에는 북한군이 다양한 종류의 지뢰와 지뢰 탐지 장비를 선보이고, 훈련에 참여하고, 애국가를 부르는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벨레스'라는 호출 부호를 가진 한 러시아 지휘관은 "그들은 훌륭한 병사들로, 빨리 배우고 주의 깊게 경청하며 메모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사령관인 "레스닉"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들은 내 사퍼들과 동등한 수준에서 내 부하들과 같은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러시아 군사 뉴스 매체 크라스나야 즈베즈다는 러시아와 북한군이 쿠르스크에 우크라이나군이 남긴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밀도"의 대전차 및 대인 지뢰를 처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지뢰의 대부분은 나토 국가들이 제조한 것이라고 밝혔다. 쿠르스크의 볼숄다츠키 지역에서는 지뢰의 위험 때문에 64개 정착촌 중 37곳이 여전히 민간인 출입 금지 지역이라고 밝혔다. 로이터가 독립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던 보고서에 따르면, 공병대원들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우크라이나 포병과 드론의 공격을 받았다고 한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모스크바가 "이타적이고 영웅적인 지원"에 감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이 도움을 결코 잊지 않을 것입니다. 이 작업은 계속됩니다. 위험하고 어려운 일이지만 한국 친구들이 진정으로 우리를 돕고 있어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추가 취재: 글렙 스톨야로프, 편집: 윌리엄 맥클린)

연구자료

링크이동
  • [국내] 최근 북한의 보건·의료 강조 동향을 통해 본 민생정책 로드맵
    최근 노동신문은 ‘평양종합병원’의 개원 사실을 알리고, 이를 “세계 일류급” 병원으로 소개하며 연일 대대적인 선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2월 김정은은 일찍이 2025년을 ‘보건혁명의 원년’으로 선포하며 평양뿐 아니라 지방의 시·군에도 ‘현대적인 보건시설’을 건설하고 전국적 차원에서 의료 인프라 확충과 서비스 질 개선을 국가적 차원에서 시행할 것을 공포하였다. 현재 북한의 ‘보건혁명’ 사업은 ‘지방발전 20×10 정책’의 세부 과제로 추진되고 있는데, 우선적으로 ‘공장건설’과 ‘살림집 건설’을 추진하고, 이후 보건시설, 복합문화센터, 양곡관리시설을 ‘3대 필수대상건설’로 선정하여 각 지역을 복합주거공간으로서 보강ㆍ발전시키는 것을 주요 로드맵으로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북한은 보건의료 부문 중러와의 협력을 강화할 뿐 아니라 국제기구와의 협력 역시 적극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행보는 내년 개최 예정인 ‘9차 당대회’ 및 새롭게 발표될 ‘5개년 계획’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향후 북한은 ‘보건·의료 부문 강화’를 김정은의 ‘애민정책’의 일환으로서 차기 민생 중점 정책으로 채택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 [국내] 한중 정상회담 평가와 과제
    2025년 11월 1일 경주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은 6년 만의 양국 정상간 만남이었다. 미중 전략경쟁이 심화하는 국면에서 한중관계를 재정립할 중요한 계기였으며, 양국은 양자관계의 전면적 정상화보다는 그 전 단계로서 위기 관리 체제의 복원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번 회담은 양국 협력의 재가동을 대내외에 알리고, 전략적 소통 채널 정례화 등 양국 관계를 관리할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공동 성명의 부재, 북한 비핵화 공조 미흡, 민감 현안 논의 부재 등 협력의 제도적 지속성과 전략적 신뢰 구축의 측면에서는 아쉬움이 있었다. 향후 이번에 마련된 관계 복원의 동력을 뒷받침할 제도적 장치를 조속히 갖춰나가고, 나아가 양국 관계의 전면적 정상화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 [국내] 트럼프 2기 실용주의 외교와 가치 담론의 활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종교·자유 등 도덕적 명분을 압박과 억지의 논리에 결합하여, 나이지리아와 베네수엘라에서 보듯 가치 담론(value discourse)을 군사·경제 제재의 전략적 정당화 수단으로 운용하고 있다. 반면 북한의 인권 및 종교 억압 문제에 대해서는 침묵함으로써, 선택적 개입과 전략적 모호성에 기반한 실용주의적 접근을 강화하였다. 이러한 가치 외교의 불균등한 적용은 ‘마가(MAGA) 지정학’이라 불리는 트럼프식 현실주의—보호무역주의·대중영합주의 및 거래 중심 힘의 외교—와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 마가 지정학은 전통적 현실주의의 합리적 행위자 모델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면서, 감정·정체성 정치 및 국내 동원의 요소를 결합해 변형·발전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가치 담론은 억지와 거래 중심의 실용주의 외교 속에서 운용되는 일종의 보조 수단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먼저 마가 지정학의 작동 원리를 냉정히 해부하여 수용 및 활용 여부와 방식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미국의 가치 외교가 실용화되는 흐름 속에서 한미동맹의 제도적 연계 강화와 독자적 가치 활용 전략의 병행도 필요하다. 이를 통해 동맹의 틀 안에서 전략적 자율성과 규범적 영향력을 함께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 [국내] 경주 APEC 정상회의와 열리지 않은 북미정상회담
    경주 APEC 정상회의는 ‘경주 선언’ 채택으로 한국의 의장국 리더십을 부각했고, 한미 정상회담에서 관세 타결·핵추진잠수함 추진, 한중 정상회담에서 관계 전면 복원을 이끌어 국익과 실용을 동시에 확보했다. 반면 기대를 모았던 북미정상회담은 트럼프 대통령의 반복된 제의에도 북한의 무응답으로 무산됐다. 북한은 하노이 결렬을 교훈 삼아 핵보유국 인정과 비핵화 요구 철회를 대화 전제로 내세우며, 신냉전·다극화 인식 아래 북·중·러 협력을 활용하는 ‘다대다’ 압박으로 선회했다. 김정은의 “시간은 우리 편”이라는 계산은 우크라이나 전쟁 종결 및 미·중 관계 변화 가능성, 그리고 트럼프만큼 대화 지향적인 지도자가 다시 등장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위험한 베팅일 수 있다. 트럼프의 내년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외교 성과 드라이브와 3월 한미연합훈련 이후, 그리고 4월 방중에 따른 미·중 정상회담 시점은 북미 대화의 잠재적 창으로 평가된다. 우리 정부의 과제는 세 가지다. 첫째, 9·19 군사합의 복원 등 긴장 완화·신뢰 회복의 선제 조치를 취하고, 둘째, 한중·한러 관계 복원으로 신냉전적 진영화와 북·중·러 결속을 약화시키며, 셋째, 북한의 통미봉남을 견제하고 ‘페이스메이커’ 역할을 통해 ‘선미후남’을 유도함으로써 한반도 평화공존의 실질적 동력을 마련하는 일이다.
  • [국내] KDI 북한경제리뷰 2025년 10월
    최근 급격히 정교해지고 있는 북한의 사이버 공격 전략과 이에 대응하는 국제사회의 움직임을 다룬다. 북한은 국제사회의 제재로 전통적인 외화 획득 경로가 막히자, 암호화폐 탈취 등 사이버 공격을 핵·미사일 개발 자금 확보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2024년 북한의 암호화폐 탈취 규모는 약 13억4천만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 세계 전체 피해액의 60%를 상회한다. 이러한 공격은 단순한 해킹을 넘어 자금세탁, 정보 탈취, 공급망 침투 등 복합적 형태로 진화하며, 국제 금융안보와 국가 인프라를 동시에 위협하고 있다. 미국, 일본, EU 등 주요국은 독자 제재, 정보공유, 카운터 해킹을 강화하고 있으나, 유엔 안보리의 제재 감시 기능이 약화되면서 실질적 공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한국 또한 사이버 안보 기본법 제정과 공세적 방어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민관 협력을 통한 대응 역량 강화가 절실하다. 북한의 사이버 위협은 기술적 차원을 넘어 국제 금융 안정, 국가 주권, 그리고 글로벌 기술 경쟁력에 직결된 문제로, 향후에는 국제사회의 신속한 정보 공유와 법·제도적 대응을 병행하는 다층적 방어 전략이 요구된다. The October issue analyzes the growing sophistication of North Korea’s cyber strategy and the evolving international response. Under intensified sanctions that have choked traditional foreign currency channels, Pyongyang has turned to cyber operations―especially cryptocurrency theft―as a critical source of funds for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Blockchain firm Chainalysis estimates that North Korea stole around USD 1.34 billion in 2024, accounting for over 60 percent of global losses. These attacks now encompass money laundering, data breaches, and supply chain infiltration, posing systemic risks to financial stability and national infrastructure.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European Union have tightened sanctions and intelligence sharing, but weakened UN oversight continues to constrain coordinated action. In South Korea, the absence of a unified cybersecurity law and offensive defense capacity underscores the need for stronger institutional and publicprivate collaboration. North Korea’s cyber operations thus represent not merely a technological threat but a structural challenge to global financial security and state sovereignty, demanding a more integrated, preemptive, and internationally coordinated response. 동향과 분석 북한 사이버 공격 전략의 진화: 대북제재 회피를 위한 외화 벌이 수단으로서 사이버 전략 | 이승열 북한 사이버 공격 변화에 따른 향후 전망과 대응 | 김성진 최근 북한의 사이버 전력과 사이버 위협 추세: 실태와 함의 | 송태은 김정은 정권의 사이버 공격과 주요국 대응 | 김보미
  • [국내] 북한의 장애인권리협약 이행 평가: 유엔 장애인권리위원회의 최종 견해 중심으로
    법률 개정 및 장애인 비하 용어 삭제는 긍정적으로 평가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포괄하는 통합교육으로의 전환 권고 ‘합리적인 편의 제공’과 ‘보편적 디자인’의 실질적 적용이 중요 북한의 인식 및 제도 개선 역량 강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지원과 협력 필요
  • [국내] 통일연구원, 「이재명 정부의 END 이니셔티브와 한반도의 미래」 국제학술회의 개최
    통일연구원, 「이재명 정부의 END 이니셔티브와 한반도의 미래」 국제학술회의 개최 1. 통일연구원(원장 김천식)은 2025년 11월 10일(월), 09:30~17:00, 웨스틴조선 서울 호텔 오키드룸(중구 소재)에서 「이재명 정부의 END 이니셔티브와 한반도의 미래(The END Initiative and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를 주제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한다. 2. 본 원은 이번 국제학술회의를 통해 이재명 정부의 교류(Exchange) · 관계 정상화(Normalization) · 비핵화(Denuclearization)를 핵심으로 하는 ‘END 이니셔티브’를 중심으로, 정부의 한반도 정책 방향과 동북아 안보 환경의 변화를 다각도로 조망하고자 한다. 이에, 미국, 일본, 중국, 영국 등의 국내외 전문가가 한 자리에 모여 한반도의 평화 정착과 상호 신뢰 구축, 북미관계 등의 재조정, 단계적 비핵화의 현실성 등 다양한 의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3. 본 국제학술회의는 김천식 통일연구원장의 개회사와 함께, 교류(Exchange) · 관계 정상화(Normalization) · 비핵화(Denuclearization)를 주제로 총 3개의 세션이 운영된다. - 1세션 교류(Exchange)에서는 홍현익 국정기획위원회 외교안보분과위원장이자 세종연구소 명예연구위원의 사회 아래, “미국의 대북 경제협력 전망”을 주제로 트로이 스탠가론(Troy Stangarone) 카네기 멜론 전략기술연구소 비상임연구원이, “남북한 교류, 어떻게 물꼬를 틀 것인가”를 주제로 박동훈(Piao Dong Xun) 옌볜대학교 교수가, “한반도 평화경제를 위한 남북 평화경제협력”을 주제로 김수정 산업연구원 개발협력연구팀장이 발표를 진행한다. 이에, 이상신 통일연구원 통일정책연구실장, 장용훈 연합뉴스 통일북한전문기자, 윤인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위원 등이 토론에 참여한다. - 2세션 관계 정상화(Normalization)에서는 김범수 서울대학교 교수의 사회 아래, “한국의 현 상황에 대한 일본의 관점”을 주제로 니시노 준야(Nishino Junya) 게이오대학교 교수가, “남북관계 정상화: 이론과 실천에서의 조건과 틀”을 주제로 메이슨 리치(Mason Richey)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가 발표를 진행한다. 이에, 민태은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송영훈 강원대학교 교수, 이무철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등이 토론에 참여한다. - 3세션 비핵화(Denuclearization)에서는 이호령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의 사회 아래, “미북 핵협상 전망: 미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접근법과 북한의 비핵화 회피전략”을 주제로 김진하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운명공동체시각에서의 동북아 평화와 발전”을 주제로 쟝둥밍(Zhang Dong Ming) 랴오닝 대학교 동북아시아연구소 소장이 발표를 진행한다. 이에, 백선우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연구위원, 황지환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반길주 국립외교원 조교수, 칼 프리드호프(Karl Friedhoff) 시카고국제문제협의회 연구위원 등이 토론에 참여한다. 4. 본 국제학술회의는 언론인과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공개되며, 참가 등록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가능하다. 또한, 한-영 동시통역을 제공한다. - 참석등록 링크: https://forms.gle/RrHRuuaZLRZGz1Go7 (~11월 7일 15:00까지) 5. 통일연구원은 앞으로도 격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한반도의 미래를 모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고 연구 성과를 확산할 예정이다.

전문자료

북한관련 영상, 이미지 및
전문자료 정보를 제공합니다.

카드뉴스

남북통합문화센터 특별전시 탈북화가 선무 작가의 나의 생각은

2025.11.14.

출처 : 통일부

링크이동

미디어통일

탈북 14년 차 사장님의 마라탕… 첫 숏컷부터 울컥했습니다

2025.11.17.

출처 : UNITV

통일교육영상

최태성의 대동여행지도

2025.10.22.

출처 : 국립통일교육원

링크이동

간행물

2016 북한 주요기관단체 인명록

2025.09.24.

출처 : 통일부

링크이동

전문자료

북한관련 영상, 이미지 및 전문 자료 정보를 제공합니다.

북한지도

지도 이미지
자세히보기

북한통계

통계 이미지
자세히보기